산림기사 임지비용가 계산 여기 계선식 첫 번째 괄호 (B+V)에서 왜 V가 15000이 아니라
여기 계선식 첫 번째 괄호 (B+V)에서 왜 V가 15000이 아니라 15000/0.05인가요?
산림경영, 임지비용가
문제를 보시면, 이율 5%라고 명시되어 있지요.
15000/0.05 -> 임지비용가의 공식입니다. 통채로 외우시기를 권합니다.
임지비용가, 임지기망가 등등 공식은 통채로 외우시는게 좋아요.
실기 필답은, 경영, 임도, 공학 딱 세과목만 나오거든요. 그런데, 임도와 공학은 7급 선떼 붙이기, 사방쌓기 등의 문제에선 그림을 그리라는 문제도 나옵니다. 그래서, 그림도 외우셔야 합니다.
필답 치르고, 바로 다음날부터 작업형 기간에 돌입하잖습니까. 예산 공주대캠퍼스는 시험보는 사람이 적고, 학교 내 부지이다 보니, 경사가 완만하고, 수목의 수령이 낮아서, 수고와 흉고직경이 작아서 좋습니다만, 대신 메인 감독관의 질문이 상대적으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타 시험장의 경우 많아야 7개를 잘 안넘는데, 예산은 평균11개, 많으면 17개까지도 질문세례를 퍼붓습니다.
이미 시험장 선택은 하셨겠지만,
복장은 단디 준비해서 가세요. 모자는 선택입니다만, 땀이 많이 나면, 시험을 보는데, 어려우니, 등산용 모자는 준비하는게 좋아요. 신발 매우 중요합니다. 안전화 또는 등산화 필수입니다. 운동화 신으면, 기술점수에서 대략 6~10점(감독관마다 달라요) 감점입니다. 이정도 감점이면, 해당 회차 시험은 포기해야 해요. 바지는 검정색 입으시면 되는데, 면, 청바지, 트레이닝바지 안됩니다. 등산바지가 가장 좋습니다. V베스트는 정해진 것은 없으나, 주머니가 많으면 좋습니다.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 조끼 안에는 가볍게 입을 수 있는 옷중, 가볍고 통기성 좋은걸 입으시면 되는데, 될 수 있는한 어두운색 입으세요. 눈에 잘띄는 색은 감독관의 표적이 됩니다. 표준지 10미터 X 20미터에 들어서면, 1개의 표준지에 1명의 수험자만 들어가는데, 나무에 붙은 번호표가 정말 지멋대로 지상 1.8미터쯤에 붙어있는게 아니고, 전부 지랄맞게 붙어 있어요. 번호도 순차적인게 아니어서, 힘들어요. 흉고직경만 15본 전부 찾아, 기록하고, 수고는 흉고직경 비슷한것 끼리 모아서, 수고를 측정하셔야 합니다. 15미터 이격. 이게 말이 쉽지...리기다 소나무의 마른 잎 정말 미끄럽습니다. 1시간 모자르실 겁니다. 그래서 수고는 비슷한 직경끼리 묶어서 측정해야 하는 겁니다.
흉고직경 측정시, 반드시 2번 이상 측정하세요. 감독관 돌아다니면서 질문합니다(점수 배점 있어요). 수고는 15미터 이격이 제일 좋습니다. 20미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하이트로메타 사용법 알고 계셔야 합니다. 이거에 관한 질문 많이 들어옵니다.
1. 진안(행정구역상 진안이 아닙니다. 전주KTX역에서 택시로 2만5천원이면 갑니다. 완주군 편백숲에서 시험을 치릅니다. 표준지 경사가 전국 1위로 대단히 가파릅니다. 돌산이기도 하고, 시험시 안전사고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표준지에서 미끄러지면, 감점1점입니다(이건 공식 발표된 겁니다))
2. 강릉(시험장은 주문진 입니다. 전국 2위의 경사도를 자랑합니다. 수목분포가 엄청납니다. 5문제가 매일 매일, 오전 오후에 전혀 다른문제가 나오는 일이 허다합니다. 또라이 감독관 출몰이 유달리 많습니다)
3. 양산(시험장은, 통도사 근처입니다. 양산시와는 많이 멀어요. 울산통도사kTX역에서 택시로 2만원정도. 경사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되지만, 실상은 25도를 가볍게 넘어가는 급경사지 입니다)
4. 청송(오지 중의 오지라, 대중교통으로는 접근이 매우 어렵습니다. 동서울에서 하루 4번, 동대구에서 하루 5번이 청송의 대중교통 끝이죠. 통상 개인차량으로 접근해야 하고, 1,2번 표준지는 경사가 완만한데, 이후 표준지는 경사가 급경사로 변경됩니다. 27~29도 가량됩니다. 청송은 연수원이라, 강릉에서 60%, 양산에서 40% 가량의 시험감독 인력과 장비를 지원 받는데, 강릉의 장비가 구형이고, 양산의 장비가 신형입니다. 아무래도 신형쪽 장비가 사용하기가 쉽습니다.
양산과 진안은, 작업형 현장에서 "중부지방 리기다 소나무 재적표"를 사용합니다. 산림인휴게소 자료실에 보시면, 있으니, 그걸 참고해서, 재적표를 보는 방법, 계산하는 방법(3가지), 반올림(소수점 셋째자리, 둘째자리)하는 것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비가 와도 작업형은 강행되니(태풍이 와도 표준지 시험은 웬만해서 강행됩니다-> 이것 때문에 26년1월부터 작업형 없어지고, 100% 필답으로 바뀌는 겁니다), 색연필은 반드시 수성이 아니라 유성으로 구입하셔야 합니다. 웬만하면 다이소의 색연필은 구하지 마세요. 잘 부러집니다. 동아 색연필이나, 유럽 색연필이 개당 천원 또는 2천원 안팍으로 품질이 좋습니다. 검은색, 빨간색, 초록, 파랑(거의 안나오긴합니다. 강이 표시되는게 진안과 강릉정도라), 노랑은 필수로 구입하셔야 해요. 이거 4색(또는 5색) 외에는 필요없어요. 색연필은 수험자 개인물품이라 검사하지 않아요. 수험자가 알아서 잘~ 해야 합니다.
아무쪼록 좋은 결과 있으시기를.